현재위치 :  >> 칼럼

어약용문이 드러낸 중국인들의 숭배와 정신

중국의 민간 역사문화에서 신화와 전설은 아름다운 생활을 추구하는 고대인들의 이상을 담고 있다. 동시에 풍부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2023-09-21

왕희지 서법(書法)이 고대 한국에 미친 영향

왕희지(王羲之, AD 303~361년), 자는 일소(逸少), 중국 동진(東晉) 시기의 서예가이다. 왕희지는 일찍이 여성 서예가 위삭(衛鑠)을 스승으로 모시고 장지(張芝)와 종요(鍾繇)의 서예를 계승했다.

2023-09-21

<장상사(長相思) > 캐릭터의 감정선과 매력으로 인기 끈 사극 청춘 드라마

최근 10년 동안 중국의 사극 청춘 드라마는 크게 발전했다. 젊은 배우들이 고풍스럽고 우아한 의상을 입고 판타지 가득한 러브스토리를 연출한다.

2023-09-21

아시아의 ‘스몰 나토’ 가시화

8월 18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초청으로 한미일 3국 지도자가 미국 대통령의 전용 별장 캠프 데이비드에서 회담을 갖고 ‘캠프 데이비드 정신’, ‘캠프 데이비드 원칙’, ‘한미일 협의 공약’ 등 3개 문건을 채택했다. 문건 내용에는 삼자 협상 체계 강화, 국가 안보 협력 강화, 지역 협력 심화, 경제 기술 협력 강화 등이 포함된다. 3국은 이번 회담으로 3국 협력이 ‘신 시대’에 진입했고 동북아 더 나아가 전 세계 지정학적 게임의 ‘새로운 장’이 될 것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2023-09-06

나토의 ‘동진(東進)’과 한·일의 ‘서진(西進)’

대서양과 태평양은 지리적으로 명확한 경계선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북대서양으로 이름 붙은 지역군사동맹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나토)가 태평양까지 관심을 보이고 있다.

2023-08-10

견우와 직녀의 작교상회, 중국인의 독특한 낭만

올해 8월 22일은 음력 7월 초이레로 중국의 전통 명절인 ‘칠석절(七夕節)’이다. 중국 민간에서는 칠석절 낮에는 까치를 찾아보기 어려운데 밤이 되면 무리를 이룬 까치가 은하수에 오작교를 놓아 견우와 직녀를 만나게 한다는 전설이 있다.

2023-08-21

U020230810558309583652.jpg

지금은 생소한 고대 한국의 ‘중원절’

고대 한국과 중국은 전통 역법의 영향으로 춘제(春節, 음력 설), 단오절같이 비슷한 명절이 많았다. 그러나 일부 명절은 다양한 이유로 역사의 흐름 속에서 변화를 거듭해 현재의 한국인들에게는 생소한 명절이 됐다. 중원절(中元節)이 대표적인 예다.

2023-08-10

<장안삼만리(長安三萬里)>애니메이션 속 시인의 고향

당나라의 찬란한 번성에 대해 이야기할 때 절대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시(詩)’이다. 그 화려한 당시의 시단(詩壇)에서, 서기 701년에서 762년 사이에 살았던 이백(李白)은 의심할 여지없이 가장 눈부신 스타였다.

2023-08-10

< >

한국의 보령 머드축제, 진흙으로 무더위 날리길

필자는 최근 독특한 선물을 받았다. 머드 컨셉의 스킨케어 제품 세트였다. 과거 피부 청결에만 사용되던 머드가 이제는 달라졌다.

읽기 원문>>

수교 직후 한국의 중국인 초빙 교수로 맺은 30년 우정

1992년 8월 24일 중국과 한국이 정식으로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이듬해 9월, 나는 한국 경상북도에 있는 영남대학교 이장우 교수의 주선으로 1994년 6월 중국으로 귀국할 때까지 이 대학의 초빙 교수로 임용됐다.

읽기 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