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21 글|칭산(靑山)
중국의 민간 역사문화에서 신화와 전설은 아름다운 생활을 추구하는 고대인들의 이상을 담고 있다. 동시에 풍부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어약용문(魚躍龍門)’이 그중 한 예다. 보통 벼락출세의 꿈을 ‘어약용문’이라는 단어로 묘사한다. 이는 자아와 세계 간의 관계에 대한 고대인들의 순수한 이상을 반영할 뿐 아니라 견고한 신념을 추구하며 목적을 달성하지 않으면 포기하지 않는 강인한 성격을 나타낸다. 오늘날 ‘어약용문’은 행운을 의미한다. 이는 노력에 대한 긍정이자 미래에 대한 축원이다.
어약용문의 출처
2000년 전 중국의 동한(東漢)시대 <신씨삼진기(辛氏三秦記)>라는 책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하진일명용문(河津一名龍門), 우착산개문(禹鑿山開門), 활일리여(闊一里馀), 황하자중류하(黃河自中流下), 양안불통차마(两岸不通車馬). 매봉춘지제(每逢春之際), 유황리어역류이상(有黃鯉魚逆流而上), 득과자변화위용(得過者便化為龍).”
하진(河津)은 또한 용문(龍門)이라 불리는데, 당시 대우(大禹)가 산을 뚫어 출구를 개척했다고 전해진다. 강이 넓고 황허(黃河)가 이곳에서 하류로 흘러갔으며 강둑 위로는 차나 말이 지나갈 수가 없었다. 매년 봄철이 되면 강물 속 황금빛 잉어가 물을 거슬러 올라가는데, 용문을 넘으면 용으로 변한다.
이 이야기는 민간에서 널리 전해져 왔다. 당나라 시인 이백은 이에 대해 시를 써서 “길이가 3척인 황허의 잉어는 본래 맹진에 살았다(黄河三尺鲤, 本在孟津居)”고 했다. 대대로 전해져온 이 이야기는 오늘날에도 널리 알려져 있다.
‘어약용문’은 우리에게 매우 신기한 자연현상 중 하나인 물고기의 회유(洄游)에 관한 성어다. 이 성어에 등장하는 ‘잉어’는 사실 철갑상어(鱘魚)를 가리킨다. 철갑상어는 강과 바다에서 회유하는 어류로, 길이는 약 2m이고 최대 5m 이상까지 자랄 수 있다. 고대에는 잉어(鲤)를 ‘진(鳣)’으로 부르기도 했는데, 그래서 고대인들은 황어(鳣鲔)를 잉어와 혼동했고, 이에 따라 ‘잉어가 용문을 뛰어넘는다’는 표현이 생겨났다. 철갑상어가 용문으로 이동하는 것은 용이 되기 위해서가 아니라 번식을 위해서다. 철갑상어는 주로 강과 하천의 상류 지역에서 알을 낳는다. 이곳은 수온이 낮고 유속이 강하며 물의 흐름이 복잡하여 어류의 산란과 번식에 매우 적합하다. 산시(山西)와 산시(陕西) 두 성이 접하는 용문 일대는 이와 같은 지형적 특정을 갖추고 있어 철갑상어가 모여 번식하기에 알맞은 장소다.
‘용문적하(龍門赤河)’는 철갑상어가 산란을 하기 전 수컷과 암컷이 서로 좇으며 수면 위로 뛰어오르는 현상이다. 매년 봄 수많은 철갑상어가 용문에 모여들고, 산란 전 2~3일 동안 빈번하게 물 위로 뛰어오른다. 이때 혈관 팽창으로 지느러미가 붉게 변한 철갑상어가 수면 위로 모습을 드러내는데, 수천 마리의 철갑상어가 수면에서 움직이는 것을 멀리서 보면 마치 강이 붉은색으로 변하는 것과 같은 ‘적하’ 현상이 일어난다. 수일에 걸쳐 몇 km에 이르는 규모로 지속되기에 ‘적하 3일’ ‘적하 3리(里)’와 같은 특이한 현상이 발생한다.
‘잉어’를 사랑하는 중국인들
중국 역사에서 사람들은 잉어를 길하고 상서로우며 기쁨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겼다. 이러한 믿음은 지금까지 이어져왔다. 집에 경사가 있을 때 중국인들을 붉은 잉어로 장식을 하거나 연화(年畫)에 연연유여(年年有餘<魚>)라는 글자를 새겨넣고, 해를 넘길 때는 반드시 생선 요리를 먹는다. 중국인들이 이렇게 잉어를 사랑하는 이유는 잉어가 긍정적이고 용감한 도전 정신과 붉은 색의 기쁨을 상징하는 아름다운 이미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용은 중화민족의 오랜 역사에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는 토템 문화다. 용은 역대 왕조를 거쳐 지속적으로 숭배되고 강화되었다. 그래서 ‘잉어가 용문을 뛰어넘는다’는 어약용문의 정신은 부지런하고 용감하며 발전을 향해 노력하는 중국인들의 정신을 잘 보여준다.
중국 전통 문화 예술에서 ‘물고기’와 ‘물’ 그림은 번영과 수확의 상징이다. 따라서 어약용문은 사업의 성공과 꿈의 실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어약용문은 아름다운 전설의 이미지적 표현일 뿐 아니라 밝은 희망과 행운을 의미하는 아름다운 소망이다. 자신의 아이가 공부와 시험을 통해 성공하길 바라는 가정에서는 이를 행운의 상징으로 여긴다. 어약용문 이야기는 우리에게 사람은 모든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으며, 어려움을 두려워하지 않고 진취심이 있어야 한다는 이치를 전달한다. 자신을 극복하거나 한계에 도전하면 더욱 강해지고 완벽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희생정신은 생활과 학습에 있어 필수적이다. 보상을 얻기 위해서는 헌신이 필요하다.
최근 인터넷의 빠른 발전에 따라 온라인에서 비단잉어 이미지를 다른 사람에게 공유하는 것이 인기를 끌고 있다. 그 핵심은 행운을 전하는 것이다. 시험 전이나 선택을 앞두고 있을 때 길조와 행운을 상징하는 비단잉어 사진을 보내는 것은 미신 행위로 보일 수 있지만, 사실 이는 아름다운 희망을 좇는 사람들의 바람을 의미한다. 사람들은 비단잉어의 축복 속에서 삶이 순조롭게 흘러갈 것이라 믿는다. 오락의 기능도 있다. 소셜미디어에서 계속 공유하며 사람들 간의 교류가 늘어난다. 마치 모두가 복권 당첨을 기다리는 것 같다. 사람들은 아마 꼭 좋은 결과가 있지는 않으리란 사실을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몇 만 심지어 몇 십만 사람들의 공유 물결에 합류하면서 기쁨을 느끼는 것 자체도 하나의 재미다.
만약 당신도 시험을 앞두고 있다면 비단잉어 사진을 공유해보길 바란다. 어쩌면 성공적인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을테니 말이다.
글|칭산(靑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