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 사회·문화 >> 본문

안후이 안칭, 대자연과 역사문화 명소가 어우러진 천하절경


2023-09-21      글|리자치(李家祺)

도시 안의 링후풍경구 사진/안칭시위원회 선전부 제공


안후이(安徽)성 남서쪽에 위치한 안칭(安慶)시는 창장(長江) 하류 북안(北岸)에 있다. 동주(東周) 시대에 안칭은 고(古) 완국(皖国)의 소재지였다. 그래서 안후이성의 약칭인 ‘완(皖)’은 여기서 비롯됐다. 동진(東晉)의 시인 곽박(郭璞)이 ‘차지의성(此地宜城)’이라고 해서 ‘의성’이라고도 불렀다.


현재 안칭시는 잉장(迎江)구, 다관(大觀)구, 이슈(宜秀)구, 퉁청(桐城)시 등 10개 행정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산과 물, 도시가 각각 삼분의 일씩 차지한다. 톈주(天柱)산, 밍탕(明堂)산 등이 우뚝 솟아 있고, 링후(菱湖), 친탄후(秦潭湖), 스탕후(石塘湖) 등 물결이 반짝이는 모습은 도시 전체가 거대한 산수 원림 같다. 고대 문인 묵객들은 이곳에 다채로운 시를 남겼다. 오늘날 안칭 사람들은 자신의 두 손으로 신시대의 산수화를 그리고 있다. 이번호에서는 안후이성 안칭시로 떠나본다.  


글|리자치(李家祺)

240

< >

수교 직후 한국의 중국인 초빙 교수로 맺은 30년 우정

1992년 8월 24일 중국과 한국이 정식으로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이듬해 9월, 나는 한국 경상북도에 있는 영남대학교 이장우 교수의 주선으로 1994년 6월 중국으로 귀국할 때까지 이 대학의 초빙 교수로 임용됐다.

읽기 원문>>

뉴노멀 된 한국의 디지털 유목민

약 10여 년 전, 전세계적인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디지털 유목민’이라는 새로운 직업과 생활 방식이 등장했다.

읽기 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