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 칼럼 >> 본문

설조풍년(雪兆豐年), 희망과 행복을 향한 기원


2024-01-17      


중국에는 ‘서설조풍년(瑞雪兆豐年)’이란 속담이 전해진다. 큰 눈이 내리면 이듬해 풍년이 올 징조라는 뜻이다. 눈은 풍년과 희망을 상징하며 여러 세대의 문인들에 의해 노래되었다. 중국 역대 문인들의 글에서 ‘눈’은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여겨졌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시구는 ‘대설분분하소사(大雪紛紛何所似, 이 흩날리는 눈이 무엇 같은가)’, ‘미약유서인풍기(未若柳絮因風起, 눈이 바람에 흐드러지는 버들개지 같네)’이다. 순수함과 고결함을 상징하는 눈은 수많은 문인들의 글에 등장했다. 사람들은 눈을 좋아한다. 눈은 일 년 4계절 중 그 존재감이 매우 특별하며, 눈이 내린 세계는 은세계와 같이 맑고 아름답다. 이러한 점에 영감을 받은 시인들은  문장에서 그 오묘함을 생동감 있게 묘사했다. ‘고주사립옹, 독조한강설(孤舟蓑笠翁 獨釣寒江雪, 외로운 배 위에 도롱이 입고 삿갓 쓴 노인, 홀로 눈 내리는 강에서 낚시질 하네)’, ‘홀여일야춘풍래, 천수만수이화개(忽如一夜春風來,千樹萬樹梨花開, 문득 밤사이 봄바람 부는가 싶더니, 온 나무마다 배꽃이 피어난 듯 눈이 내렸네)’, ‘북국풍광, 천리빙봉, 만리설표(北國風光,千里冰封, 萬里雪飄, 북부 지방 풍경은 온통 얼음으로 뒤덮이고 눈보라가 휘몰아친다)’는 모두 눈에 대한 찬미가 드러난 시구이다. ‘설조풍년’이라는 사자성어는 눈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마음뿐 아니라 아름다운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염원을 대변한다.


‘설조풍년’의 과학적 근거

농업과 날씨는 관련이 깊다. 씨를 뿌리고 수확할 때까지 사람들은 언제나 날씨 변화에 주의를 기울인다. 그에 따라 ‘청명전후, 점과종두(清明前後,點瓜種豆, 청명절 전후는 봄 파종을 하기 가장 적기이다)’, ‘입하전후종면화(立夏前後種棉花, 입하 전후에 목화를 심는다)’와 같은 속담이 생겨났다. ‘설조풍년’ 역시 마찬가지로 농업 생산 과정에서 얻은 경험이다. 사실 이에는 어느 정도 과학적 근거가 있다. 겨울에는 날씨가 춥기 때문에 내린 눈이 쉽게 녹지 않는다. 눈이 토양을 덮으면 가볍고 부드러운 눈 사이사이에 움직이지 않는 많은 공기가 갇히게 된다. 공기는 열전도율이 낮기 때문에 농작물 위를 덮은 눈은 솜이불과 같은 역할을 한다. 그래서 전해져 내려오는 속담 중에 ‘동천맥개삼층피, 내년침착만두수(冬天麥蓋三層被, 來年枕著饅頭睡, 겨울에 세 번의 눈이 오면 이듬해 밀농사는 풍년을 맞이한다)’라는 말이 있다. 바깥 날씨가 매우 춥더라도 농작물을 보호하는 보온층이 있으면 온도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저온에서는 농작물의 병충해 피해 발생 가능성이 별로 없다. 봄이 되어 날씨가 점점 풀리고 눈이 녹기 시작하면 녹은 물이 토양에 스며들어 새해 작물의 새로운 양분이 되어준다. 이 물은 작물에 충분한 수분을 제공할 뿐 아니라 봄갈이나 파종, 농작물의 생장에 좋은 조건을 마련해준다.


눈은 토양에 천연 비료와 같은 작용을 한다. 겨울철 식물은 땅 속의 양분을 흡수할 수 없다. 눈이 녹으면 땅이 양분을 방출하는 데 도움을 주어 식물에 충분한 영양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연구 데이터에 따르면 눈의 아미드 함유량은 매우 높다. 이는 비가 내릴 때에 비해 훨씬 많다. 눈이 녹을 때 아미드가 땅속에 스며들며, 이는 최고의 비료가 되어 식물에 영양물을 공급한다.  


눈은 겨울의 요정

중국은 남북으로 넓은 국토를 가지고 있다. 둥베이(東北) 지역의 모허(漠河)부터 하이난다오(海南島)의 싼야(三亞)까지는 5000km가 넘는 거리다. 북쪽 지역에 얼어붙은 땅과 아름다운 눈밭이 펼쳐질 때 남쪽에는 여전히 초록빛으로 물든 생기 넘치는 광경이 펼쳐진다. 겨울이 되면 남방 사람들에게 눈 구경은 특별한 소망이 된다. 눈은 겨울의 즐거움이다. 겨울에 눈이 없다면 사람들은 이 계절만의 아름다움을 누리지 못하고 감정적 위안도 얻지 못할 것이다.


사계절이 분명한 중국의 제2대 평원인 화베이(華北)평원에서 눈은 겨울의 상징이다. 화베이평원은 중국의 곡식 창고이며, 겨울 평원의 초록빛 물결을 만드는 것은 바로 겨울 밀이다. 이 지역 사람들에게 있어 위에 언급한 ‘동천맥개삼층피, 내년침착만두수(冬天麥蓋三層被, 來年枕著饅頭睡, 겨울에 세번의 눈이 오면 이듬해 밀농사에 풍년을 맞이한다)’라는 말은 거의 현실과도 같다. 화베이평원은 밀의 주산지로 특히 허베이(河北)와 허난(河南) 일대에서 밀이 광범위하게 재배된다. 농사일을 하는 성실한 사람들은 이듬해의 풍성한 수확을 바라는 마음으로 착실히 절기의 변화를 지킨다. 눈이 화베이평원을 덮으면 농민들의 마음은 한결 편해진다.

  

물론 농부를 제외하고 눈을 제일 좋아하는 건 아이들이다. 그들은 ‘설조풍년’이란 말은 모르지만 눈사람과 눈싸움의 즐거움은 안다. 만약 눈이 겨울의 요정이라면 아이들은 요정의 가장 좋은 친구다. 눈발이 날리면 그들은 모자와 장갑으로 채비를 하고 밖으로 뛰쳐나가 눈덩이를 굴리고 큰 눈사람을 만든다. 꽃처럼 흩날리는 눈 속에서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울려 퍼진다. 어른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기쁨이다.


중국 문화에서 눈은 상서로움의 상징이다. 그래서 ‘서설(瑞雪, 상서로운 눈)’이라는 말이 생겼다. 사람들은 서설이 때맞추어 내리기를 기대한다. 이를 통해 소란스러운 세상이 평온해지고, 각자 평온한 마음으로 미래를 생각할 수 있기를 바란다. 눈은 겨울의 상징으로, 미래에 대한 사람들의 희망을 담고 있다. 생활 속 번잡함은 그 순간 잊혀진다. 사람들은 문 밖을 나서지 않고 난로 옆에 모여 앉아 차를 마시며 눈이 가져다주는 선물을 즐긴다. 새해의 평안, 행복과 원만함을 기원하면서 조용히 에너지를 축적한다.

글|칭산(靑山)

240

< >
U020231102548226725392.png

‘용의 해’에 용을 논하다...한국에서의 용

다시 용의 해가 왔다. 한국의 거리 곳곳에서 용맹하거나 귀여운 ‘용’을 만날 수 있다.

읽기 원문>>

2024년은 ‘청룡의 해'...중국 용 문화의 이모저모

용은 실존하지 않는 상상적 존재지만, 예로부터 중국인의 일상생활 속에 다양하게 스며들었다.

읽기 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