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 사회·문화 >> 본문

‘훨훨 나는 中 VS 꽉 막힌 韓’-중국의 핀테크 성공비결


인민화보

2018-10-25      인민화보

‘중국에서는 거지도 QR코드로 구걸한다.’중국의 핀테크(금융+기술) 기술이 얼마나 발달했는지 잘 표현해주는 이 말은 이제는 식상하게 들릴 정도로 보편화됐다. 그만큼 핀테크가 중국인의 삶에 깊숙이 뿌리 내렸음을 의미한다.

중국 핀테크의 양대 산맥으로 불리는 알리바바의 알리페이(AliPay, 支付寶)와 텐센트(騰訊)의 위챗페이(微信支付) 등을 위시해 중국에서 핀테크를 활용한 모바일 결제 규모는 지난해 200조 위안으로 전세계 1위를 차지했다.  
  
최근 한국에서도 핀테크가 핫이슈로 떠올랐다. 청와대는 글로벌 스탠다드에 뒤처지는 한국의 핀테크 산업 발전을 위해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한 은산분리 규정을 완화할 필요성을 언급했다. 산업자본의 금융자본 사유화를 막기 위한 은산분리 규정은 산업자본의 금융업 침범을 막는 긍정적 효과가 있지만, 핀테크 등 차세대 금융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는 게 이런 주장의 근거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중국을 방문했을 때 현지인들이 아침을 먹는 식당을 방문해 직접 위챗페이로 계산을 하는 등 ‘중국 핀테크 산업 체험’을 한 바 있다. 막연히 머릿속으로 상상하는 핀테크의 편리함과 직접 체험을 통해 느끼는 편리함은 하늘과 땅 차이다.

한국 정부가 핀테크 발전에 채찍을 꺼내 든 것은 바로 지근거리에 있는 중국에서 ‘핀테크 공룡’이 잇따라 출현하는 데 따른 위기감 때문일 수 있다. IT 강국을 자처하는 한국이지만, 핀테크 분야에서만큼은 중국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뒤처진 것이 사실이다.

중국에는 알리페이와 위챗페이 외에도 시가 총액이 10억 달러를 넘는 핀테크 스타트업 기업이 즐비하다. 올해 기준 36개 핀테크 ‘유니콘들’이 중국의 거대한 핀테크 시장에서 활발히 활약하고 있다. 중국이 핀테크 산업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달리는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먼저 핀테크 기업에 대한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지를 하나의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중국 정부는 2014년 초 중국 IT업계의 3대 공룡인 BAT(바이두·알리바바·텐센트)를 민영은행 시범사업자로 선정했으며, 텐센트는 2015년 1월 위챗페이의 근간이 되는 인터넷 전문은행 ‘위뱅크’를 개설해 본격적인 금융업을 개시했다.

중국 정부가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한 시범 운영과 인가, 보안 시험까지 걸린 기간은 8개월 남짓에 불과했다. 한국 인터넷전문은행이 규제에 발이 묶여 허덕이는 것과는 매우 상반되는 모습이다.

중국 핀테크가 발전할 수 있었던 또 하나의 중요한 원인은 유명무실했던 옛 전자결제시스템의 낙후성 때문이다. 중국의 결제시스템은 현금결제 사회에서 신용카드 시기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핀테크 시대로 넘어왔다. 아이러니하게도 중국은 신용 결제시스템이 형성돼 있지 않았기 때문에 새로운 결제시스템인 핀테크가 큰 반발 없이 사회 전체에 자리 잡을 수 있었다. 한국사회에 핀테크가 쉽게 뿌리내리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가 핀테크 없이도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잘 갖춰진 신용카드 결제시스템과 신용카드를 운용하는 기존 은행업계의 기득권 지키기란 점과 비교하면 단점이 오히려 장점이 된 셈이다.

마지막으로 중국의 핀테크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는 IT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탄탄한 보안 기술을 꼽을 수 있다. 알리바바는 알리페이를 출시하면서 ‘당신이 과감히 사용한다면, 우리는 과감히 보상하겠다’를 보상 정책으로 내세웠다.

알리바바는 알리페이를 사용하면서 해킹이나 오작동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면 최대 100만 위안을 보상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돈과 관련해서 누구보다 신중하고, 특히 신용카드조차 사용해본 적 없던 중국인을 핀테크 세상으로 끌어오기에는 충분한 ‘당근’을 제공한 것이다. 알리바바의 이런 자신감은 한 해에도 수만 명씩 쏟아져 나오는 IT 우수 인재와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는 보안 관련 기술이 바탕이 됐다.

핀테크가 미래의 금융산업의 핵심이자 결제시스템의 주류라는 것을 부정할 수는 없는 세상이 왔다. 핀테크 분야에서 한 발 내딛기도 어려운 한국은 더 늦기 전에 중국의 성공 요인을 곰곰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글|김진방(한국 연합뉴스 베이징특파원)

240

< >
배너2.jpg

‘중한 연(緣)문화제’, 빙설의 정으로 인연을 이어가다

땅거미가 내려앉자 아름다운 빛깔의 빙등(冰燈, 얼음 등)이 어둠에 가려있던 룽칭샤(龍慶峽)를 밝게 비췄다. 빙등은 마치 하늘을 수놓은 무수한 별 같았다. 2월 3일 밤, 한국 충남국악관현악단과 뜬쇠예술단이 한국 전통공연인 ‘사물놀이’의 빠른 리듬에 맞춰 무대에 등장한 것을 시작으로 ‘빙설정-중한 연 문화제’가 막을 올렸다. 이제 중한 연 문화제는 얼음과 눈을 다리 삼아 중한 양국의 우정을 이어가는 자리가 되었다.

읽기 원문>>

‘국경을 넘은 예술교류’ -중한 유명교수 2인의 공동 도자기전시회

중국과 한국 양국의 유명교수 두 사람의 공동 도자기 전시회가 1월 13일 베이징 허비싱도자기예술관에서 열렸다. 중국 징더(景德)진(鎭)에서 온 닝강(寧鋼) 교수(징더진도자기대학교 교장)와 한국 단국대학교 도예과 박종훈 교수의 도자기 작품 총 90점이 선보인 이번 전시회는 작품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두 학구파 예술가들의 독특한 예술 특징을 보여주고, 서로 다른 역사·문화 배경 하에 자리잡은 도자기 예술의 표현방식 및 심미세계를 확인하기 위한 취지로 기획되었다.

읽기 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