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 정치 >> 본문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는 인류 운명공동체 건설


2018-01-26      

현재 세계는 대대적인 발전과 변혁, 조정이라는 중요한 시점에 놓여 있다. 이에 따라 인류사회가 직면한 불안과 불확실성도 날로 커져가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스위스의 작은 도시 다보스에서 개최된 세계경제포럼(WEF, 다보스포럼)의 주제는 ‘분절된 세계 속 공동의 미래 창조(Creating a Shared Future in a Fractured World)'였다. 주제가 말해주듯 인류사회는 불확실성으로 가득 찬 갈림길 속에서 당혹스러워하면서도, 미래에 대한 일말의 기대를 품은 채 깊은 고민에 빠져 있다. 지금 세계에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으며,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런 세계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한 중국솔루션(中國方案)은 바로 ‘인류 운명공동체 건설과 상생•공유의 실현’이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작년 제네바 UN 본부 사무국에서 연설을 통해 대국 정치가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했다. 시 주석은 불안에 빠진 세계에 평화와 안정을 실현하고 공동 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묘약’을 처방했다.

인류 운명공동체 건설의 실질적 핵심은 국제체제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과 이해를 새롭게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국제사회가 ‘무정부 사회’라는 이론적 가설을 바탕으로 한 서구의 전통적 국제관계론을 뛰어넘어, 국제체제의 안보와 발전 및 평화와 안정의 난제를 해결하고 국제관계의 건전한 발전에 올바른 패러다임을 제공하는 하나의 혁신적 사고방식이다.

인류 운명공동체 건설은 ‘평화공존 5원칙’ 등 중국이 창의적으로 내세웠던 여러 국제관계 사상과 외교 원칙에 이은 또 하나의 외교적 공헌이다. 현 시대 상황에 두루 적용되고 높은 포용성을 지니며 인류 사회의 가장 높은 이상과 열망을 반영한 까닭에 국제사회의 뜨거운 반응과 넓은 공감대를 얻고 있다. 인류 운명공동체 개념은 UN에서 통과된 관련 결의문에 등장하기까지 했다.

세계 각국과 함께 인류 운명공동체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중국은 줄곧 세계 평화의 건설자이며 글로벌 발전의 공헌자이자 국제 질서의 수호자 역할을 담당해 왔다. 이 뿐만 아니라 UN 안보리 상임이사국이자 세계 무대의 중심으로 나아가는 신흥 대국으로서 평화공존 5원칙을 준수하며 세계 평화와 안정에도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개발도상국으로서 민족의 위대한 중흥과 현대화 강국 건설 방안을 점차 현실화하는 한편 개발도상국들이 취할 수 있는 현대화 노선을 확장하고 있다. 빠른 경제성장을 바라면서도 스스로의 독립성을 지키고자 하는 세계 여러 나라와 민족에게는 하나의 새로운 선택지이자 귀중한 사례가 아닐 수 없다.

사람들이 인류 운명공동체에 점점 더 많은 지지와 공감을 표함에 따라 인류 운명공동체도 더 이상 이론과 사상적 차원이 아닌 행동과 실천으로 옮겨가는 중이다. 인류가 세계를 공유하고 운명을 함께 하며 서로 손을 맞잡고 평화의 지속화, 안보의 보편화, 공동의 번영, 개방과 포용, 깨끗하고 아름다운 세계를 만들어가는 것이야말로 이번 세계경제포럼의 화두인 ‘분절된 세계 속 공동의 미래 창조’에 담긴 진정한 의미일 터이다.
 
 
글|왕레이(王磊), 베이징사범대학교 브릭스국가협력센터장•공공정책대학 부교수

240

< >
G20 网站图片.png

‘중한 연(緣)문화제’, 빙설의 정으로 인연을 이어가다

땅거미가 내려앉자 아름다운 빛깔의 빙등(冰燈, 얼음 등)이 어둠에 가려있던 룽칭샤(龍慶峽)를 밝게 비췄다. 빙등은 마치 하늘을 수놓은 무수한 별 같았다. 2월 3일 밤, 한국 충남국악관현악단과 뜬쇠예술단이 한국 전통공연인 ‘사물놀이’의 빠른 리듬에 맞춰 무대에 등장한 것을 시작으로 ‘빙설정-중한 연 문화제’가 막을 올렸다. 이제 중한 연 문화제는 얼음과 눈을 다리 삼아 중한 양국의 우정을 이어가는 자리가 되었다.

읽기 원문>>

‘국경을 넘은 예술교류’ -중한 유명교수 2인의 공동 도자기전시회

중국과 한국 양국의 유명교수 두 사람의 공동 도자기 전시회가 1월 13일 베이징 허비싱도자기예술관에서 열렸다. 중국 징더(景德)진(鎭)에서 온 닝강(寧鋼) 교수(징더진도자기대학교 교장)와 한국 단국대학교 도예과 박종훈 교수의 도자기 작품 총 90점이 선보인 이번 전시회는 작품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두 학구파 예술가들의 독특한 예술 특징을 보여주고, 서로 다른 역사·문화 배경 하에 자리잡은 도자기 예술의 표현방식 및 심미세계를 확인하기 위한 취지로 기획되었다.

읽기 원문>>